반응형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모나리자 주가 전망입니다.

모나리자의 간략한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동사는 화장지 제조와 판매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1977년 10월 설립되었습니다.

회사의 목적 사업으로는 화장지 제조 판매업, 지류 제조 판매업, 의약외품 제조 판매업,

일용잡화 판매업, 무역업, 기계류 제작판매업 등이 있습니다.

 

동사는 2024년 03월 31일 작성기준일 현재 지주회사인 엠에스에스홀딩스(주)의 계열회사이며,

당사를 포함한 총 8개의 관계회사가 있습니다.

출처 : 에프앤가이드

 

 

모나리자 주가 전망

반응형

 

모나리자 월봉 차트

*모나리자 월봉 차트

 

모나리자 주봉 차트

*모나리자 주봉 차트

 

모나리자 일봉 차트

*모나리자 일봉 차트

 

모나리자가 16일 시가를 0.15%로 시작하였고, 장중 24.04% 상승했다가

종가를 21.29%로 마감한 모습입니다.

주식 차트 흐름을 볼 때는 월봉 차트, 주봉 차트, 일봉 차트를 종합하여 보는 것이 좋다 하겠습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값싼 위생용지(휴지. 핸드타올. 키친타올.냅킨 등)의 원단을 받아

단순 절단, 엠보싱, 포장만 해놓고 국산으로 속여 판매해 온 업체들이

관세청의 대대적인 단속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수입산 위생용지의 국산 둔갑은 고질적인 문제였습니다.

소비자들의 안전이 위협받고 해외에서의 불법벌목을 용인하는 꼴이라는 우려가 끊이지 않았습니다.

관세청과 별개로 국내 위생용지 원단을 제조하는 중소업체들은

글로벌 10위 인도네시아 회사를 비롯해 문제의 수입 업체들을 형사고발까지 했습니다.

 

12일 제지업계에 따르면 관세청은 수입 원단으로 위생용지를 생산하는

한국 그랜드 유니버셜 트레이딩(GUTK)과 광진산업, 아이티씨, 경동디앤에스, 한예지 등을

지난달 말부터 단속해왔습니다.

 

GUTK는 글로벌 10위이자 최근 쌍용 씨앤비와 모나리자를 인수한 인도네시아 기업

APP(아시아펄프앤페이퍼)의 한국법인입니다.

이들이 원단을 수입한 사실을 숨긴 채 원산지와 제조국을 대한민국이라 표기한 점을 문제 삼아

포장지의 표기를 시정하라고 시정도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단속과 별개로 국내에서 위생용지 원단을 생산하는 대왕페이퍼와 대원제지, 삼정펄프, 신창제지,

프린스페이퍼, 아이유제지도 해당 업체들을 대외무역법 위반 혐의로 이날 관세청에 고발했습니다.

이들은 위생용지는 신체에 직접 닿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원산지에 민감한데,

수입업체들은 소비자들을 기망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위생용지는 커다란 원단을 절단, 엠보싱, 포장해 만들어집니다.

예컨대 휴지의 경우 형체는 일반 롤 휴지와 똑같지만 너비와 직경은 1m가 넘는

커다란 원단 1 롤을 절단해 흔히 화장실에서 보는 일반 가정용 롤 화장지 8000~1만 개를 만듭니다.

 

원단을 가져다 절단, 엠보싱, 포장하는 공정은 원단의 제조 공정에 비하면 매우 단순하다는 게

국내 원단업계의 일관된 주장입니다.

원단의 절단과 엠보싱, 포장 등 가공에 들어가는 비용은 전체 원가의 30~35%,

나머지 65~70%는 원단 가격입니다.

 

대외무역법과 원산지 관리규정은 수입 원료가 국내에서 단순가공 됐다면 수입물품에 해당하고,

제품에 본질적인 특성을 부여한 나라를 원산지로 표기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2014년에 노르웨이산 연어를 스웨덴에서 가염, 건조, 냉동, 절단, 포장했다고

스웨덴산이라 표기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과 같은 논리입니다.

관세청도 7년 전 위생용지의 최종 품질은 원단이 결정하고 엠보싱은 단순가공이라 결론 내렸습니다.

절단과 엠보싱, 포장 모두 단순가공이니 수입산 원단의 원산지와 제조국은 수입국이라는 결론입니다.

 

하지만 수입 가공업체들은 당국의 부실한 관리 속에 중국과 인도네시아산 원단을 쓰고도

원산지와 제조국을 대한민국이라 표기해 판매해 왔습니다.

국내 업계는 전문적인 법률검토 결과 위생용지를 대외무역법상 원산지를 표기할 의무가 없는

수입원료를 사용한 국내생산물품으로 보더라도

원산지와 제조국을 대한민국으로 명시한 것은 위법이라고 봤습니다.

 

헬로 순수 3겹 도톰한 고급롤화장지 30m, 헬로키티 시그니쳐 5겹 프리미엄 화장지 24 롤 3팩,

로얄라이프 프리미엄 화장지, 한예지 키스해링 오리지널 미용 티슈 등은

원산지 표기 위반이라고 고발장에 적시했습니다.

 

 

모나리자가 분봉 차트상으로는 아직 홀딩 타임으로 나오고 있군요.

분봉상의 흐름만 놓고 본다면, 이 주식은 더 상승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주식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분봉 차트는 단타나 스캘핑 기법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차트라 하겠습니다.

홀딩 기법에서는 일봉 차트, 주봉 차트, 월봉 차트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다 하겠군요.

 

모나리자의 전반적인 차트 흐름을 보자면,

월봉 차트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살아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전망할 수 있겠는데,

현재적인 양봉이 저항대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점은 생각하면서 대응하는 것이 좋겠군요.

 

주봉 차트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살아 있는 상태라 하겠습니다.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전망할 수 있겠는데,

현재적인 양봉이 저항대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과한 욕심부리지 않고 대응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입니다.

 

모나리자의 일봉 차트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살아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거래량 흐름도 괜찮고 한데, 염두에 둬야 할 점은

현재적인 위치가 조정받기도 적당한 위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모나리자의 주가 흐름을 보면,

14일부터 16일까지의 상승폭이 크다 하겠습니다.

가격대 면에서 부담되는 위치라 하겠군요.

 

객관적인 상황은 이러한데, 개인적으로 볼 때는

모나리자가 일봉상 등락이 있더라도 상승 흐름은 더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차트 흐름의 전반적인 상승 추세와 수급세가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모나리자의 일봉 차트를 보게 되면, 16일 세운 양봉의 위치가

일봉 차트 흐름의 3차 저항대를 큰 폭으로 올라서 있는 위치라 하겠습니다.

 

현재적인 차트 상황은 16일 세운 양봉이 저항대의 영향을 받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리고 전반적인 차트 흐름상에서 조정받기 적당한 위치라 하겠군요.

그렇기 때문에 과한 욕심부리기보다는, 가급적 단기 상승 탄력성에 집중하면서

짧은 패턴으로 대응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방식이라 생각됩니다.

 

모나리자의 당분간의 관전 포인트는, 16일 세운 양봉에 영향을 주고 있는 저항대를

제대로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라 하겠습니다.

저항대를 제대로 통과하고, 저항대 위에서 자리를 잡게 된다면

이 주식은 상승 흐름에 있어 뒷심 있는 행보를 보여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모나리자의 전반적인 차트 흐름을 볼 때, 아직 상승 여력을 더 있는 주식으로 보입니다.

그러하더라도 단기간에 상승폭이 큰 상황이고, 

추가적인 상승 여력이 빠른 시일 안으로 분출이 될 것인지,

한잠 시일이 지나서 분출이 될 것인지는, 일반 투자자들이 분명히 알기 어렵기 때문에

가급적 짧은 패턴으로 대응하는 것이 보다 안전한 방식이라 생각합니다.

 

무슨 테마든, 테마주는 상승 탄력성이 좋을 때, 짧은 패턴으로 대응하고 나오는 것이 좋다 하겠습니다.

그렇게 성공적인 매매를 하고 나온 다음, 추세가 아직 살아 있으면

물량 조절하여서 다시금 짧게 대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것이지요.

 

모나리자를 홀딩하며 수익 나고 있는 사람들은 충분 물량은 수익 실현하고

소박한 물량으로 대응하는 것도 적절한 방식이라 봅니다.

모나리자를 매수하려고 검토하고 있는 사람들은, 조정받은 다음

다시금 상승 흐름이 진행될 때, 매수를 검토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생각되는군요.

 

결론적으로, 모나리자 주식은 일봉 5일선이나 일정 이평선 기준으로

대응할 만한 주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수스페셜티케미컬 주가 전망  (0) 2024.08.19
두산에너빌리티 주가 전망  (0) 2024.08.19
에스유홀딩스 주가 전망  (0) 2024.08.17
깨끗한나라 주가 전망  (0) 2024.08.17
케이바이오 주가 전망  (0) 2024.08.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