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SK디앤디 주가 전망입니다.

SK디앤디의 간략한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동산개발을 주요 목적으로 부동산개발과 신재생에너지개발사업을

주 영업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SoC 개발, Platform 개발, IP 개발, Embedded Memory 개발, Library 개발, 테스트 개발 및 QA 등

전문화된 조직을 구성하여 고객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을 제공합니다.

 

디앤디플랫폼리츠(REITs. 부동산투자회사)를 활용해

종합 부동산 플랫폼 회사로 성장하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출처 : 에프앤가이드

 

 

SK디앤디 주가 전망

반응형

 

SK디앤디 월봉 차트

*SK디앤디 월봉 차트

 

SK디앤디 주봉 차트

*SK디앤디 주봉 차트

 

SK디앤디 일봉 차트

*SK디앤디 일봉 차트

 

SK디앤디가 14일 시가를 -1.77%로 시작하였고, 장중 24.58% 상승했다가

종가를 11.20%로 마감한 모습입니다.

 

주식 차트 흐름을 볼 때는 월봉 차트, 주봉 차트, 일봉 차트를

종합하여 보는 것이 좋다 하겠습니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한앤컴퍼니(한앤코)가 포트폴리오 기업 SK디앤디와 SK이터닉스의

인적분할 이후 전환우선주(CPS)를 보통주로 전환했습니다.

SK디앤디의 경우 투자 단가 대비 주가가 낮은 상황에서 내린 의사결정이라 눈길을 끕니다.

 

투자 기업의 최대주주인 SK디스커버리와 의결권 균형을 맞춰

공동 경영에 집중하려는 목적으로 풀이됩니다.

 

5월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한앤코는 보유 중인 SK디앤디와 SK이터닉스의

CPS에 대해 보통주 전환을 마쳤습니다.

한앤코 의결권 지분율은 약 31.2%로 이들 두 기업의 최대주주인 SK디스커버리와 동일해졌습니다.

 

SK디앤디의 경우 한앤코가 SK디스커버리보다 2주 더 소유하며

SK이터닉스는 최대주주와 보유 주식수도 일치합니다.

해당 CPS는 SK디앤디가 2020년 발행했으며 한앤코가 510억 원에 인수했습니다.

 

올해 3월 SK디앤디는 주거 플랫폼 등 부동산 개발과 운영 부문을 남기고

SK이터닉스를 세워 신재생에너지, ESS 사업부를 인적분할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CPS도 분리됐습니다.

 

SK이터닉스는 재상장 이후 시장 평가가 우호적인 반면

SK디앤디는 분할 직전 대비 시총 감소가 불가피했습니다.

이로 인해 CPS의 경제적 가치도 제각각입니다.

 

SK디앤디 CPS의 보통주 전환가격은 2만 원 대이지만 주가는 1만 원대에 머물러 있습니다.

SK디앤디의 경우 투자 지분의 평가손실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한앤코는 보통주 대비 CPS에 많이 책정되던 배당금도 일부 포기하는 셈입니다.

 

한앤코는 포트폴리오 기업의 시장 재평가를 위한 제반 작업을 마친 만큼

공동 경영 취지에 집중할 것으로 관측됩니다.

한앤코는 2018년 SK가스와 최창원 SK디스커버리 부회장이 보유하던 SK디앤디 구주를

1954억 원에 인수한 이후 두 차례 유상증자에 참여해 833억 원을 출자했습니다.

총 투자금액은 2786억 원, 인수금융 잔액은 1470억 원으로 파악됩니다.

 

한앤코의 투자 기간이 길어진 만큼 SK디앤디와 SK이터닉스의

엑시트 시기에 시장 관심도가 높습니다.

다만 아직까지 매각 작업이 속도감 있게 추진되는 상황은 아닙니다.

 

현재 SK디앤디와 SK이터닉스의 주가를 고려한 한앤코의

보유 지분 가치는 2200억 원대를 나타냅니다.

투자 원금에 미치지 못하지만 SK이터닉스 분할 덕분에 투자 가치는 회복되고 있습니다.

 

SK이터닉스는 육상 풍력 발전 사업에 집중하며 해상 풍력과 전력 거래 사업 등을 추진합니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사업 파이프라인이 다양해 성장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습니다.

 

 

SK디앤디의 분봉 차트상으로는 아직 홀딩 타임으로 나오고 있군요.

분봉상의 흐름만 놓고 본다면, 이 주식은 더 상승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주식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분봉 차트는 단타나 스캘핑 기법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차트라 하겠습니다.

홀딩 기법에서는 일봉 차트, 주봉 차트, 월봉 차트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것이 좋다 하겠군요.

 

SK디앤디의 전반적인 차트 흐름을 보자면,

월봉 차트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살아 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전망할 수 있겠는데,

현재적인 양봉 위로 저항대가 층층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점은 생각하면서 대응하는 것이 좋겠군요.

 

주봉 차트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살아 있는 상태라 하겠습니다.

추가적인 상승 흐름을 전망할 수 있겠는데,

현재적인 양봉 위로 저항대가 층층이 자리하고 있기 때문에

과한 욕심부리지 않고 대응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입니다.

 

SK디앤디의 일봉 차트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살아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거래량 흐름도 괜찮고 한데, 염두에 둬야 할 점은

현재적인 위치가 조정받기도 적당한 위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SK디앤디의 주가 흐름을 보면,

전반적인 역배열 형태의 바닥권을 행보하다가 14일 11.20%의 상승 마감이기 때문에

가격대 면에서 부담되는 위치라 하겠습니다.

 

객관적인 상황은 이러한데, 개인적으로 볼 때는

SK디앤디가 일봉상 등락이 있더라도 상승 흐름은 더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차트 흐름의 전반적인 상승 추세와 수급세가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SK디앤디의 일봉 차트를 보게 되면, 14일 세운 양봉의 위치가

일봉 차트 흐름의 1차 저항대 아래로 소폭의 간격을 두고 있는 위치라 하겠습니다.

 

현재적인 차트 상황은, 14일 세운 양봉 위로 저항대가 층층이 자리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과한 욕심부리기보다는, 가급적 단기 상승 탄력성에 집중하면서

짧은 패턴으로 대응하는 것이 보다 안전하고 합리적인 방식이라 생각되는군요.

 

SK디앤디의 당분간의 관전 포인트는,

일봉 1차 저항대와 2차 저항대를 제대로 통과할 수 있는지 여부라 하겠습니다.

1차 저항대를 제대로 통과하게 된다면,

빠른 시일 안으로 2차 저항대를 통과하는 흐름이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니면 1차, 2차 저항대를 동시에 상향 돌파할 가능성도 제법 된다 하겠군요.

 

차트 흐름이 좋게 형성되어서, SK디앤디가 일봉 2차 저항대를 제대로 통과하고

2차 저항대 위에서 자리를 잡게 된다면,

이 주식은 상승 흐름에 있어 뒷심 있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리고 SK디앤디가 조정을 받더라도, 당분간은 큰 폭의 조정 가능성은 적어 보입니다.

추가적인 박스권 흐름이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한 가지 덧붙이자면, 이런 전반적인 역배열 형태에서 올라오는 주식은

특별한 호재가 수급력이 동반되지 않는 한, 점진적인 상승 흐름을 전망할 수 있다 하겠습니다.

 

SK디앤디를 홀딩하며 수익 나고 있는 사람들은 충분 물량은 수익 실현하고

소박한 물량으로 대응하는 것도 적절한 방식이라 봅니다.

SK디앤디를 매수하려고 검토하고 있는 사람들은,

14일 종가 가격대보다 훨씬 부담이 덜한 가격대에서

매수를 검토하는 것이 보다 안전할 것으로 생각되는군요.

 

결론적으로, SK디앤디 주식은 일봉 5일선이나 일정 이평선 기준으로

대응할 만한 주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반응형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엑스플러스 주가 전망  (0) 2024.05.16
한국화장품제조 주가 전망  (0) 2024.05.16
샘씨엔에스 주가 전망  (0) 2024.05.15
뉴트리 주가 전망  (0) 2024.05.14
한글과컴퓨터 주가 전망  (0) 2024.05.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