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07. 無得無說分(무득무설분) : 얻을 것과 설할 것도 없음

 

"수보리야, 너는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었다고 생각하느냐?

또 여래가 진리라며, 설한 바가 있다고 생각하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제가 부처님 말씀을 이해하기로는 정해진 바 진리 없음을 이름하여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 하신 것이요,

또한 정해진 바 없는 진리를 여래께서 말씀해 주셨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바 진리는 모두 취할 수도 없고, 말할 수도 없고,

진리도 아니고, 진리 아닌 것도 아니기 때문이옵니다.

왜 그러냐 하면 모든 현인과 성인은 무위법(無爲法)으로써 차별을 두기 때문이옵니다."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뇩多羅三먁三菩提)를 얻었다고 여기느냐.

여래가 설법한 것이 있다고 여기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신 뜻을 알기로는 아뇩다라삼먁삼보리라고 이름 할 만한 일정한 법이 없으며,

여래께서 말씀하셨다고 할 만한 일정한 법도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법은 모두가 잡을(取) 수 없고 말할(說) 수도 없으며,

법도 아니고 비법(非法)도 아니기 때문입니다.

 

어찌하여 그런가 하면 일체의 온갖 현인(賢人)이나 성인(聖人)들이

모두가 이 무위의 법(無爲法 :생멸변화가 없는 참된 법)을 근본으로

각각의 차별(差別)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