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09. 一相無相分(일상무상분) : 하나의 상에 대해서도
상이 없어야 함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수다원이 생각하기를 '내가 수다원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수다원은 성인의 경지에 들었음을 이름한 말이오나
실은 들어간 바가 없어서 모양이나 소리, 냄새, 맛, 감촉, 관념에 빠지지 않았기에
이름하여 수다원이라 하였을 따름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사다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사다함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사다함은 한번 갔다 옮을 이름한 말이오나
실은 가고 온다는 생각이 없기에 이름하여 사다함이라 하였을 따름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나함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아나함은 오지 않음을 이름한 말이오나
실은 오지 않는다는 생각이 없기에 이름하여 아나함이라 하였을 따름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과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 하면 실로 진리라고 할 바 없음을 이름하여 아라한이라 하였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노라'하면
이는 곧,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에
집착함이 되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다툼이 없는 삼매를 얻은 사람 가운데서 으뜸이라시며
욕심을 여읜 첫째 가는 아라한이라' 하시오나
세존이시여, 저는 제가 욕심을 여윈 아라한이라고 생각하지 않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약 '내가 아라한도를 얻었다.'라고 생각한다면
세존께서는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기는 자.'라고 말씀하시지 아니하셨을 것이지만
수보리에게는 실로 아란나행을 한다는 생각이 없기 때문에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즐긴다.'고 이름하셨사옵니다."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아나함(阿那含)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나함의 과위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아나함은 불래(不來)라 하지만
실로는 다시 오지 아니함이 없기에 이름을 아나함이라 하나이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아라한(阿羅漢)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 하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그렇지 않습니다.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실로 아무것도 아라한이라 할 법이 없는 것을
아라한이라 부르기 때문입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아라한이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 한다면
이는 곧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나라는, 남이라는, 내것이라는, 그럴 것이라는 생각)에
집착되는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저를 일러서 무쟁삼매(無諍三昧)를 얻은 사람 중에
가장 으뜸이라 하셨는데, 이는 욕심을 여읜 아라한(離欲阿羅漢)이기 때문입니다마는
저는 내가 욕심을 여읜 아라한(離欲阿羅漢)이라고는 생각치는 않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만일 생각하기를 '내가 아라한의 도를 얻었노라' 한다면
세존께서는 곧 수보리를 아란나행(阿蘭那行)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하시지 않으셨을 것입니다마는
수보리가 실로 수행하는 티가 없으므로 수보리는 아란나행을 좋아한다고 이름 하셨습니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11. 無爲福勝分(무위복승분) (0) | 2024.01.31 |
---|---|
[금강경] 10. 莊嚴淨土分(장엄정토분) (0) | 2024.01.30 |
[금강경] 08. 依法出生分(의법출생분) (0) | 2024.01.30 |
[금강경] 07. 無得無說分(무득무설분) (0) | 2024.01.30 |
[금강경] 06. 正信希有分(정신희유분)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