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26. 法身非相分(법신비상분) : 법신은 결코 모습이 아님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그러하옵니다.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 여래를 뵈올 수 있나이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야, 만약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다면 전륜성왕도 곧 여래이니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뜻을 헤아리기로는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는 여래를 뵈올 수 없사옵니다."
그때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습니다.
"만약 모양으로 나를 보려 하거나 (若以色見我 / 약이색견아)
음성으로 나를 찾으려 하면 (以音聲求我 / 이음성구아)
이 사람은 곧 삿된 도를 행하는 것이니 (是人行邪道 / 시인행사도)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不能見如來 / 불능견여래)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32상(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었습니다.
"그러하옵고 그러하옵니다. 32상(相)으로 여래를 볼 수 있습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야, 만일 32상(相)으로서 여래를 본다면 전륜성왕(轉輪盛王)도 곧 여래라고 할 것이다."
수보리가 다시 부처님께 아뢰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제가 부처님의 말씀하시는 뜻을 알기로는,
응당 32상(相)으로서는 여래를 볼 수 없겠습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게송으로 말씀하셨습니다.
겉모양에서 부처를 찾거나 음성(목소리)으로써 부처를 찾는다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지라
끝내 여래를 볼 수 없으리라."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28. 不受不貪分(부수부탐분) (0) | 2024.02.08 |
---|---|
[금강경] 27. 無斷無滅分(무단무멸분) (0) | 2024.02.08 |
[금강경] 25. 化無所化分(화무소화분) (0) | 2024.02.06 |
[금강경] 24. 福智無比分(복지무비분) (0) | 2024.02.06 |
[금강경] 23. 淨心行善分(정심행선분) (0) | 2024.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