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블로그 방문을 환영합니다. HLB생명과학 주가 전망입니다.

HLB생명과학의 간략한 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HLB생명과학은 체외 진단용 의료기기 개발 및 제조, 의약외품의 구성품 개발 및

완제품 위탁생산을 하는 메디케어사업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신화어드밴스 지분인수로 의약품 유통 사업분야에 진출하여

국, 공립병원에 의약품을 납품하고 있으며 거래 고객사는 유한양행, 대웅제약 등입니다.

 

에너지 사업부문은 ESCO사업을 통해 경험한 소각플랜트 수행실적을 바탕으로

부산 소재의 산업용 폐기물 중간처분업체를 인수하여

정상화 작업을 위한 EPC사업을 진행 중입니다.

출처 : 에프앤가이드

 

 

[주식] HLB생명과학 주가 전망. 추세 분석과 대응 방법

반응형

 

HLB생명과학 일봉 차트

*HLB생명과학 일봉 차트

 

HLB생명과학이 오늘 현재 52주 신고가로 가고 있는 모습입니다.

 

이러한 상승세는 HLB 간암 치료제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허가를 앞두고 있다는 소식에

HLB 계열사들의 주가가 강세를 보이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습니다.

 

HLB는 간암 치료제 후보물질 리보세라닙과 중국 항서제약의 칼렐리주맙의 병영 투여 요법으로

FDA 1차 치료제 허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FDA는 오는 5월 16일까지 최종 결론을 내릴 전망입니다.

 

한편 HLB가 간암 신약 리보세라닙이 약물 유발 간독성(DIH)이 있는 환자나

간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도 높은 효능을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8일부터 3일간 개최된 미국암학회 소화기암 심포지엄(ASCO GI 2024)이 진행됐습니다.

기업 전문가 발표세션에서 간암 치료에 있어서 환자의 간기능과 이를 고려한 치료제의 선택이

환자의 생존과 직결되는 중요한 요소라는 내용이 발표됐습니다.

 

만성 간질환이나 B/C형 간염, 알코올성 지방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등은

간암 치료를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입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치료는 자칫 환자의 간손상을 더욱 악화시키고,

환자에게 처방되는 여러 약물들의 효과를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간암 치료제를 선택할 때 환자의 간기능에 대한 영향과 효과를 함께 고려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발표를 맡은 엘레바 메디컬 부문 총괄인 나탈리아 라파엘 박사는

기존 간기능을 측정하는 가장 보편화된 지표에는 차일드 퓨(Child-pugh, CP) 점수 체계가 있다며,

그러나 간성뇌증이나 복수의 양 등에 대한 주관적 지표가 포함돼 있어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차별성을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반면, 환자의 혈청 알부민과 빌리루빈 수치만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ALBI 지표는

간기능을 진단하는 최신 방법이라며 환자의 상태와 치료 예후는 물론,

간기능에 따른 약효와 안전성,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보다 효과적이라고 했습니다.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은 글로벌 3상(CARES-310)에서 환자의 간기능 정도(ALBI 1,2등급)에 상관없이

환자의 전체생존기간(mOS)과 무진행생존기간(mPFS)에서 일관된 치료효과를 입증했습니다.

 

현재 표준치료제로 처방 중인 아바스틴+티쎈트릭 병용요법은

전체 간암환자의 60%를 차지하는 ABLI 2등급 환자에서 유효성을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이번 연구를 통해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의 경우, CP등급 기준으로

CP-A5, CP-A6 등급의 환자에서 mOS가 각각 23.9개월, 22.0개월로

일관된 치료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대조군인 소라페닙의 경우 CP-A5에서 15.8개월, CP-A6에서 9.2개월로

간기능이 악화된 환자에서는 약효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간 치료 후 2개월부터 18개월간 관찰한 결과, 약물 유발 간독성이나

3/4등급의 간독성이 있는 환자에서 리보세라닙 병용요법 투여군은

객관적반응률(ORR)이 9.1% 상승했습니다.

소라페닙 군에서는 1.6%로 낮은 수준의 개선만 이뤄졌습니다.

 

간독성 3/4등급의 환자에서 생존기간도 대조군 대비 21.5개월 vs. 8.4개월,

무진행생존기간 5.6개월 vs. 2.2개월을 보였습니다.

 

라파엘 박사는 모든 결과를 종합해 보면, 리보세라닙 병용요법은 간독성을 고려한

절제불가능한 간암 환자에 대한 치료에 있어서도 최적의 선택임을 입증했다고 했습니다.

 

 

HLB생명과학이 오늘 시가를 9.85%로 시작하였고, 1시 31분경 18.1%대까지 상승했다가

현재 17.42%를 보이고 있습니다.

 

분봉 차트상으로는 아직 홀딩 타임으로 나오고 있군요.

분봉상의 흐름만 놓고 본다면, 이 주식은 더 상승할 수 있는

에너지를 가지고 있는 주식으로 볼 수 있겠습니다.

 

HLB생명과학의 일봉 추세는 상승 탄력성이 괜찮은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거래량 흐름도 괜찮고 한데, 염두에 둬야 할 점은

현재적인 위치가 조정받기도 적당한 위치라는 것입니다.

 

그리고 25일부터 오늘까지 주가 흐름을 보면, 나흘 연속 상승 흐름인데

나흘 간의 상승폭이 크다 하겠습니다.

가격대 면에서 부담되는 위치라는 것이지요.

또한 단기 상승 흐름에서도 고점 영역대까지 온 상태라 하겠습니다.

 

객관적인 상황은 이러한데, 개인적으로 볼 때는

HLB생명과학이 오늘 종가를 전일 종가보다 크게 하락하여 마감하지 않는 한,

일봉상 등락이 있더라도 상승 흐름은 더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차트 흐름의 전반적인 상승 추세와 수급세가 살아 있기 때문입니다.

 

HLB생명과학의 일봉 차트를 보게 되면, 어제 긴 위꼬리 양봉에서부터

앞전에 형성된 박스권을 상향 돌파한 상황이지요.

오늘도 상승폭이 좋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 세우고 있는 양봉의 위치는 일봉 2차 저항대를 제법 간격을 두고 올라선 위치입니다.

그만큼 상승 탄력성이 좋은 상태로 진행되었다 하겠군요.

 

아마 HLB생명과학이 오늘 상승세를 지속적으로 이어가지 않는다면

현재적 위치에서 박스권을 만들어 갈 확률도 높아 보이는군요.

일봉 차트 흐름을 보면, 양 3봉 형태라 볼 수 있기 때문에

오늘도 괜찮은 상승폭의 양봉으로 마감한다면,

보편적인 차원에서의 단기 상승 고점 영역이 된다 하겠습니다.

 

HLB생명과학의 일봉 차트 흐름이 진행되는 모습을 보면,

약간 변형된 계단식 흐름으로 볼 수 있겠군요.

오늘 종가를 형성한 부근에서 다시금 박스권을 형성하게 된다면

계단식 상승 행보의 그림이 보다 뚜렷하게 나오게 된다 하겠습니다.

 

이런 계단식의 행보는 뒷심이 좋은 경우들이 많다 하겠습니다.

저가 상태의 계단식 상승 행보든, 고가 상태에서의 계단식 상승 행보든

이런 유형들은 단기 상승 추세 정도는 얻을 확률이 많은 차트 흐름이라 하겠습니다.

관건은 어느 지점에서 진입을 하느냐가 중요하겠지요.

 

HLB생명과학의 전반적인 차트 상황을 보면, 이 주식은 오늘까지의 단기 급등 행보를 했음에도

추가적인 상승 흐름이 가능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하겠습니다.

에너지 분출 시점은 상승 주체들만 아는 영역이겠지요.

 

일반 투자자들은 가급적 상승 탄력성이 좋을 때,

안전하게 수익을 내는 방식을 택하는 것이 보다 현명하다고 봅니다.

 

HLB생명과학을 홀딩하며 수익 나고 있는 사람들은 충분 물량은 수익 실현하고

소박한 물량으로 홀딩 대응하는 것도 적절한 방식이라 봅니다.

HLB생명과학을 매수하려고 검토하고 있는 사람들은 충분히 조정을 받은 다음,

다시금 상승 흐름이 진행될 때, 진입을 검토하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주식은 가급적 짧은 패턴으로 대응하는 것이 현재적인 상황에서는 보다 안전하다 하겠군요.

 

긴 관점으로 보자면, 이런 주식은 좀 길게 보고 대응할 수도 있는 주식이라 하겠습니다.

길게 보고 대응할 수 있으려면, 소박한 물량으로 대응하거나,

추가적인 매수 기법을 사용할 수가 있겠지요.

추가적인 매수 기법은 어느 정도 주식 실력이 갖추어진 사람들이나,

자금력이 좀 풍부한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봅니다.

 

결론적으로, HLB생명과학 주식은 일봉 5일선이나 일정 이평선 기준으로

대응할 만한 주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하겠습니다.

항상 건강하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