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11. 無爲福勝分(무위복승분) : 세상에서 으뜸 가는 복덕

 

"수보리야, 항하에 있는 모래처럼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다면 네 생각은 어떠하냐?

그 모든 항하의 모래가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모든 항하의 수만 하여도 오히려 셀 수 없이 많겠거늘

하물며 그 모래이겠습니까?"

 

"수보리야, 내가 이제 진실한 말로 너에게 이르노니,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칠보로써 항하의 모래처럼 많은 삼천 대천 세계를 가득 채울 만큼 널리 보시한다면

그 얻는 복덕이 많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대단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 가운데서 네 구절로 된 게송 하나만이라도 받아 지녀

남을 위해 말해 준다면 이 복덕이 앞에서 말한 복덕보다 뛰어나리라."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 수(數)처럼 많은 수의 항하가 있다면,

어떻게 생각하겠느냐. 이렇게 많은 항하의, 모든 모래 수효가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대단히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그 모든 항하들만 하여도 엄청나게 많겠거든

하물며 그 여러 항하의 모래이겠습니까?"

 

"수보리야, 내가 지금 참말(거짓 없는 말)로서 네게 이르노니,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그렇게 많은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칠보를 가득히 채워서 보시에 쓴다면 그 복덕(福德)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경에서 사구게(四句偈)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주면(受持爲他人說) 그 복덕은 앞에서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