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10. 莊嚴淨土分(장엄정토분) : 정토를 장엄하게 함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옛적에 연등 부처님 처소에서

어떤 진리에 관해 얻은 바가 있었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연등 부처님 처소에 계실 적에

진리에 관해 얻으신 바가 없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보살이 불국토를 장엄하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불국토를 장엄한다는 것은, 곧 장엄함이 아니라

그 이름이 장엄일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모든 보살마하살은 마땅히 이와 같이 청정한 마음을 낼지니,

마땅히 형상에 머무르지 말고 마음을 낼 것이요,

마땅히 소리와 냄새, 맛, 감촉, 대상에 머무르지 말고 마음을 낼지니라."

(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 應無所住 以生其心)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

 

수보리야, 비유컨대 만일 어떤 사람의 몸이 수미산만 하다면,

네 생각은 어떠하냐? 그 몸을 크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주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닌 것을 가리켜서

큰 몸이라 이름하시기 때문이옵니다."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보살들이 불 국토를 장엄(莊嚴佛國土) 하느냐?"

"그렇지 않습니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면 불국토를 장엄하였다는 것은

장엄(莊嚴)이 아니므로 이를 장엄(莊嚴)이라 이름하나이다."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렇게 청정한 마음을 내어야 할 것이니,

색(色)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고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 머물러서도

마음을 내지 말아야 하나니, 아무 데도 머무는 데가 없이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가령 어떤 사람이 몸이 수미산왕(須彌山王)과 같다면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몸이 크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아뢰오되,

"엄청나게 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 그런가 하오면 부처님께서는 몸 아닌 큰 것을 말씀하셨으며

이것을 큰 몸이라 이름하셨기 때문이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