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13. 如法受持分(여법수지분) : 법대로 받아 지녀야 함

 

그때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습니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을 무엇이라 이름하오며, 저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니오리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이 경은 금강반야바라밀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이 이름대로 받들어 지녀라.

무슨 까닭인가? 수보리야, 여래가 설한 바 반야바라밀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반야바라밀일 뿐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진리를 말한 바가 있느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말씀하신 바가 없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삼천 대천 세계에 있는 모든 먼지를 많다고 하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었습니다.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이 모든 먼지를 여래는 먼지가 아니라고 말하느니, 이것은 이름이 먼지일 뿐이요,

여래가 말하는 세계 또한 그것이 세계가 아니고, 그 이름이 세계일 따름이니라.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으로써는 여래를 뵐 수 없사옵니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서른두 가지 거룩한 모습은 곧 모습이 아니라,

그 이름이 서른 두 가지의 모습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목숨을 바쳐 보시했다 할지라도,

만약 어떤 사람이 있어 이 경의 네 글귀로 된 게송 하나만이라도 받아 지녀

남을 위해 설해 준다면 그 복이 더 많으니라."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그때에 수보리가 부처님께 사뢰었습니다.

"세존이시여, 마땅히 이 경의 이름을 무엇이라 하며 우리들이 어떻게 받들어 지녀야 하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시되.

"이 경은 이름이 금강반야바라밀이니 이 이름으로써 너희들은 받들어 지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느냐. 수보리야, 부처가 반야바라밀이라 말(說)한 것은

곧 반야바라밀이 아니기에 그 이름을 반야바라밀이라 부르는 것이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가 법을 말(說)한 것이 있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을 말씀하신 바가 없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삼천대천세계에 있는 모든 티끌(微塵)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대답하였습니다. "엄청나게 많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여래는 이 모든 티끌은 티끌이 아니라 설했기에 그 이름을 티끌이라 하며

여래가 말한 세계도 세계가 아니므로 세계라 이름하느니라."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32 相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32相으로는 진정한 여래를 보지 못하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32相은 곧 진정한 상(相)이 아니므로

32相이라 이름하기 때문입이다."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몸과 목숨을 보시하더라도

또 다른 어떤 사람이 이 경에서 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 지니고 다른 사람을 위해 말하여 주면

그 복이 보다 더욱 많으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