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20. 離色離相分(이색이상분) : 부처란 형상과 모습을 떠나 있음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구족한 몸을 갖춘 것을 두고 부처라고 할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구족한 몸을 갖추었다고 여래라 볼 수는 없나이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구족한 몸은 곧 구족한 몸이 아니라
그 이름이 구족한 몸일 따름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가히 구족한 몸의 특징을 두고 여래라 할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구족한 몸의 특징을 갖추었다고 여래라 볼 수는 없나이다.
왜냐하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모든 몸의 특징을 구족함이 곧 구족이 아니라
그 이름이 구족일 따름이기 때문이옵니다."
반응형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는 어떠하냐. 여래가 색신을 모두 갖춘(具足色身) 것으로 볼 수 있겠느냐?"
"아닙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모두 갖춘 몸(具足色身 : 모양)'으로써 볼 수 없사오니,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두 갖춘 몸'이란 '모두 갖춘 몸'이 아니며,
다만 이름을 '모두 갖춘 몸'이라 하시옵니다."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하냐?
여래를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具足諸相 : 특징)'로써 볼 수 있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를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로서 볼 수 없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신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라 함은
곧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가 아니며, 다만 '모두 갖춘 거룩한 몸매'라 이름한 것이옵니다."
반응형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22. 無法可得分(무법가득분) (0) | 2024.02.06 |
---|---|
[금강경] 21. 非說所說分(비설소설분) (0) | 2024.02.05 |
[금강경] 19. 法界通化分(법계통화분) (0) | 2024.02.03 |
[금강경] 18. 一切同觀分(일체동관분) (0) | 2024.02.03 |
[금강경] 17. 究竟無我分(구경무아분) (0)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