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18. 一切同觀分(일체동관분) : 일체를 하나로 봐야 함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에게 육안(肉眼)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는 육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에게 천안(天眼)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는 천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에게 혜안(慧眼)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는 혜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에게 법안(法眼)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에게 불안(佛眼)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는 불안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항하 가운데 있는 수많은 모래알에 대해 여래가 말한 적이 있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는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에 대해 말씀하신 적이 있사옵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저 하나의 항하 가운데 있는 모래알 수만큼 많은 항하가 있고,

그 모든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의 불세계가 있다면 그 세계를 참으로 많다 하겠느냐?"

 

"아주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저 많은 세계 가운데 있는 모든 중생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는 다 아느니라.

왜냐하면 여래가 말하는 모든 마음은 마음이 아니라 그 이름이 마음일 따름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은 수보리야, 지나간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반응형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여래가 육안(肉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육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여래가 천안(天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천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여래가 혜안(慧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혜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여래가 법안(法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법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여래가 불안(佛眼)을 가졌느냐?"

"그러하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는 불안을 가지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저 항하(恒河)에 있는 모래를 부처가 모래라 말하느냐?"

"그러하나이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모래라고 말씀하셨나이다."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는냐.

저 한 항하에 있는 많은 모래 수효와 같이 그렇게 많은 항하가 있고,

이 모든 항하에 있는 모래 수효와 같은 수의 불세계(佛世界)가 있다면

이런 불세계는 많다고 하지 않겠느냐?"

 

"엄청나게 많나이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렇게 많은 세계에 있는 모든 중생들의 갖가지 마음을 여래가 다 아노니

왜냐하면 여래가 말씀한 모든 마음은 모두가 마음이 아니기에,

이를 마음이라 이름 할 뿐이기 때문이니라.

 

그 까닭이 무엇이겠는가?

수보리야, 과거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찾(잡)을 수 없기 때문이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