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30. 一合理相分(일합이상분) : 진리와 현상은 둘이 아님

 

"수보리야, 만약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 대천 세계를 부수어 가는 먼지를 만들었다면

네 생각에 어떠하냐? 이 가는 먼지들이 얼마나 많겠느냐?"

 

"대단히 많사옵니다. 세존이시여, 왜냐하면 만약 이 가는 먼지들이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곧 저 가는 먼지들이라고 말씀하시지 않으셨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시는 가는 먼지들은 곧 가는 먼지들이 아니라

그 이름이 가는 먼지들일 따름이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여래께서 말씀하신 삼천 대천 세계도 곧 세계가 아니옵고 그 이름이 세계일 뿐입니다.

왜냐하면 만약 세계가 실제로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곧 하나의 모양이어야 할 것이오나,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하나의 모양도 실은 하나의 모양이 아니오라

그 이름이 하나의 모양일 따름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하나의 모양이라 하는 것은, 말로 할 수 없는 것이건만

다만 범부 중생들이 그것을 탐착 할 뿐이니라."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만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삼천대천세계를 부수어 티끌을 만든다면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티끌들이 많지 않겠느냐?"

 

수보리가 사뢰어 말씀드리되,

"매우 많겠나이다. 세존이시여,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만일 이 같은 티끌들이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부처님께서는 이것을 티끌들이라 말씀하시지 않으셨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오면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티끌들이란 곧 티끌들이 아니기에

이름을 티끌들이라 이름하였기 때문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또한 여래께서 말씀하신 삼천대천세계도 곧 세계가 아니라

이름을 세계라 이름 하나이다.

왜냐 하오면 만일 세계가 참으로 있는 것이라면 그것은 곧 일합상(相·想 덩어리)인 것이나,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일합상(一合相)은 실제 일합상이 아니라

다만 이름을 일합상이라 이름하나이다."

 

"수보리야, 일합상란 것은 바로 말할 수 없는 것이거늘

다만 범부(凡夫)들이 그것을 탐내고 집착하느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