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32. 應化非眞分(응화비진분) : 응화신은 참된 것이 아님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지 세계에 가득 찬 칠보로써 널리 보시했더라도,
만약 선남자 선여인으로서 보살심을 일으킨 이가
이 경이나 이 경의 네 글귀로 된 게송을 받아지녀 읽고 외워서
다른 이를 위해 전해 준다면 그 복이 더욱 뛰어나니라.
어떻게 남을 위해 전할 것인가? 생각과 모습에 이끌리지 말고 여여하여 움직이지 말 것이니라.
그 까닭은 이러하니라."
현상계의 모든 법은 (一切有爲法 / 일체유위법)
꿈, 헛 것, 물거품, 그림자 같고, (如夢幻泡影 / 여몽환포영)
이슬 같고, 또한 번개 같으니 (如露亦如電 / 여로역여전)
마땅히 이와 같이 볼지니라. (應作如是觀 / 응작여시관)
부처님께서 이 경을 다 말씀하시자 장로 수보리와,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 우바이와,
일체 세간의 사람, 하늘 사람과, 아수라 등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모두 크게 기뻐하여
믿고 받들어 행하였습니다.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한량없는 아승지세계에 가득히 쌓인 칠보를 보시에 썼더라도
어떤 선남자 선녀인으로서 보살심을 일으킨 이가 이 경을 지니고
혹은 사구게만이라도 받아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주면
그 복이 저 보시한 복보다 더 나을 것이니 어떻게 남을 위하여 일러 줄 것인가?
모양(相)에 집착하지 않고 항상 여여(如如)하여 동요가 없어야 하느니라. 무슨 까닭이겠는가?
온갖 유위(有爲)의 법은 꿈 같고, 꼭두각시 같고, 거품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 같고, 번개 같으니, 응당 이렇게 관(觀) 할지어다.
부처님께서 이 경을 설(說)하심을 마치시니 장로 수보리와 여러 비구, 비구니와
우바새, 우바이와 일체모든 세간의 천상 인간과 아수라들이
부처님이 설하신 법문을 듣고 모두들 매우 기뻐하면서 믿고 받들어 행하였습니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31. 知見不生分(지견부생분) (0) | 2024.02.08 |
---|---|
[금강경] 30. 一合理相分(일합이상분) (0) | 2024.02.08 |
[금강경] 29. 威儀寂靜分(위의적정분) (0) | 2024.02.08 |
[금강경] 28. 不受不貪分(부수부탐분) (0) | 2024.02.08 |
[금강경] 27. 無斷無滅分(무단무멸분) (0)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