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31. 知見不生分(지견부생분) : 지견을 드러내지 말아야 함

 

"수보리야, 만약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여래가 나라는 지견, 남이라는 지견과

중생이라는 지견과 오래 산다는 지견을 말했다고 한다면 수보리야,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

그 사람 내가 말한 진리를 바로 아는 것이겠느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그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진리를 알지 못하는 것이옵니다.

왜냐하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나라는 지견과 남이라는 지견과

중생이라는 지견과 오래 산다는 지견은

곧 나라는 지견과 남이라는 지견과 중생이라는 지견과 오래 산다는 지견이 아니요,

그 이름이 나라는 지견, 남이라는 지견, 중생이라는 지견, 오래 산다는 지견일 뿐이기 때문이옵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이는 온갖 법을 응당 이와 같이 알고,

이와 같이 보며 이와 같이 믿고 깨달아서 법이라는 생각을 내지 말 것이니라.

수보리야, 금방 말한 바 '법이라는 생각'도 여래가 곧 법이라는 생각이 아닌 것을 말함이요,

다만 이름이 법이라는 생각일 따름이니라."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부처님이 아견(我見), 인견(人見), 중생견(衆生見), 수자견(壽者見)을 말씀하셨다.' 한다면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이 사람이 내가 설한 뜻을 이해한다고 하겠는냐?"

 

"아니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사람은 여래께서 말씀하신 뜻을 알지 못하옵니다.

무슨 까닭인가 하오면 세존께서 말씀하신 바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은

곧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 아니라

단지 그 이름을 '아견, 인견, 중생견, 수자견이라 부르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수보리야,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일으킨 이는 온갖 법에 대하여 응당 이렇게 알며

이렇게 보며 이렇게 믿고 해석하여 알아 법상(法相)을 내지 말 것이다.

수보리야, 이른바 법상이라 하는 것은 여래가 말씀하시기를 진정한 법상이 아니라 설하노니

다만 이름을 법의 상(法相)이라 부르는 것이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