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경] 15. 持經功德分(지경공덕분) : 경을 지니는 공덕
"수보리야,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아침에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의 몸으로 보시하고,
낮에 다시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의 몸으로 보시하며,
저녁에 또한 항하의 모래알 수만큼의 몸으로 백천만억 겁 동안 보시하더라도,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진심으로 믿고 거스르지 아니하면 그 복이 앞의 것보다 수승할진대,
하물며 이 경을 베끼고 받아 지녀 읽고 외워 남을 위해 자상하게 전해 준다면
그 복은 얼마나 크겠느냐!
수보리야, 한 마디로 말하면 이 경에는 생각할 수도 없고, 헤아릴 수도 없는 가없는 공덕이 있느니,
여래가 모두를 위해 발심한 사람을 위해 이 경을 말한 것이며
최상승의 발심을 한 사람을 위해 이 경을 말한 것이니라.
만약 어떤 사람이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녀 읽고 외우며 사람들을 위해 널리 전해 준다면
여래는 이 사람을 다 알고 이 사람을 다 볼 것이니, 모두가 헤아릴 수 없고, 일컬을 수 없고,
가없으며,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될 것이니라.
이러한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짊어진 것과 같으니라.
왜냐 하면 수보리야, 소승의 법을 좋아하는 자는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에 집착하여 이 경을 능히 알아듣고 받아 지녀 읽고 외워서
남을 위해 전해주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어떤 곳이든 이 경이 있으면 일체 세간의 하늘과 사람과 아수라가 응당 공양하리니,
마땅히 알라. 이 곳은 곧 탑을 모신 곳이 되어 모두가 기꺼이 공경하며 절하며 에워싸 돌면서
가지가지 꽃과 향을 그 곳에 뿌릴 것이니라."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수보리야, 만약 어떤 선남자나 선녀인이 아침나절에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점심 나절에도 또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고,
저녁나절에도 또한 항하의 모래 수와 같은 몸으로 보시하여,
이렇게 한량없는 백천만억겁(劫) 동안을 몸으로 보시하더라도,
만약 다른 사람이 이 경전을 듣고 믿는 마음(信心)으로, 그르다고 하지만 아니하여도
그 복이 저 보시한 복보다 더 많거늘 하물며 이 경을 쓰고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남을 위하여 일러 주기까지 함이야 말할 것이 있겠느냐.
수보리야, 중요한 것을 들어서 말하건대, 이 경에는 말할 수 없고 생각할 수 없고
측량할 수도 없는 끝없는 공덕이 있나니,
여래는 대승(大乘)의 마음을 낸 이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으며
가장 높은 마음을 낸 이(最上乘者)를 위하여 이 경을 말했느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전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고 여러 사람들에게 일러 주면
여래가 이 사람을 다 알고, 이 사람을 다 보시나니, 모두가 한량없고 말할 수도 없고,
끝도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을 이룰 것이니라,
이와 같은 사람들은 곧 여래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담당 할 것이니라.
무슨 까닭인가 하면 수보리야, 만약 소승법을 좋아하는 이(樂小法者)는
'나(我)라는데 집착하고, 사람에, 중생에, 오래삶'의 소견에 집착되므로,
곧 이 경을 듣지도 못하고, 받아 읽고 외우지도 못하고 남을 위해 일러주지를 못할 것이다.
수보리야, 있는 곳 어느곳이나 이 경이 있으면 온갖 세상의 하늘사람, 아수라들이
응당 공양을 할 것이니, 이곳은 곧 부처님의 탑과 같으므로 모두가 공경하며 예배하고
돌면서 꽃과 향으로 그 곳에 뿌릴 것이다."
'금강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17. 究竟無我分(구경무아분) (0) | 2024.02.03 |
---|---|
[금강경] 16. 能淨業障分(능정업장분) (0) | 2024.02.03 |
[금강경] 14. 離相寂滅分(이상적멸분) (0) | 2024.02.02 |
[금강경] 13. 如法受持分(여법수지분) (0) | 2024.01.31 |
[금강경] 12. 尊重正敎分(존중정교분) (0)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