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강경] 14. 離相寂滅分(이상적멸분) : 허상을 여윈 적멸

 

그때 수보리가 이 경의 말씀을 듣고 그 뜻을 깊이 깨달아

눈물을 흘리고 감격해서 울며 부처님께 사뢰었습니다.

"희유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같이 매우 깊은 경전을 말씀하시오니,

제가 옛적 전생으로부터 얻은 바 지혜의 눈으로는 일찍이 이 같은 경을 얻어 듣지 못하였나이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얻어 듣고 신심이 청정해지면

곧 실다운 진리의 경계가 생겨나리니

이 사람은 마땅히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것임을 알겠나이다.

 

세존이시여, 이 실다운 진리의 경계라는 것은 곧 경계가 아니기에

여래께서 실다운 진리의 경계라고 이름하셨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이제 이 같은 경전을 얻어 듣고 나서 믿어 알고 받아 지니는 것은 어렵지 않사오나,

만일 이천오백 년이 지난 다음 세상에는 어떤 중생이 이 경을 얻어 듣고 나서 믿어 알고 받아 지닌다면

그 사람은 곧 제일 희유한 사람이겠나이다.

 

왜냐하면 그 사람은 나라는 생각도 없고, 남이라는 생각도 없고, 중생이라는 생각도 없고,

오래 산다는 생각도 없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나라는 생각도 곧 절대 관념(相)이 아니오며, 남이라는 생각과 중생이라는 생각과

오래 산다는 생각도 곧 절대 관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왜냐하면 일체의 온갖 상(相)을 다 여읜 것을 부처라 이름하기 때문이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하다 그러하다. 만약 다시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고 겁내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으면,

그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희유한 사람임을 마땅히 알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한 제일바라밀은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라

그 이름이 제일바라밀을 뿐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인욕바라밀도 여래는 인욕바라밀이 아니라고 말하나니 이름이 인욕바라밀일 뿐이니라.

왜냐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날 가리왕에게 몸을 베이고 찢기울 적에 내게는 나라는 생각도 없었고,

남이라는 생각도 없었으며, 중생이라는 생각도 없었고, 오래 산다는 생각도 없었느니라.

 

왜냐하면 내가 옛적에 사지를 마디마디 찢기고 끊길 때 만약 나에게 나라는 생각, 남이라는 생각,

중생이라는 생각, 오래 산다는 생각이 있었다면 응당 성내고 원망하는 마음을 내었을 것이니라.

 

수보리야, 또 여래가 과거에 오백 생애 동안 인욕 선인이 되었을 때에도 나라는 생각이 없었고,

남이라는 생각도 없었으며, 중생이라는 생각도 없었고, 오래 산다는 생각도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일체의 관념을 여의어 아뇩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킬지니,

마땅히 형상에 끄달리지 말고 마음을 내고, 마땅히 소리, 냄새, 맛, 닿는 느낌과

어떤 법에도 끄달리지 말고 마음을 내어, 마땅히 머무는 바 없는 마음을 내어야 한다.

 

만약 이같이 머무르면 머무름 아님이 되므로 여래는 보살심을

'마땅히 형상에 끄달리지 않는 마음으로 보시하는 것'이라 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일체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해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하느니라.

 

여래가 설하기를 일체의 관념도 곧 관념이 아니며, 일체 중생도 곧 중생이 아니라고 하였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참된 말을 하는 이요, 실다운 말을 하는 이며, 진여의 말을 하는 이요,

거짓말을 하지 않는 이며, 다른 말을 하지 않는 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바 진리는 실다움도 없고 헛됨도 없느니라.

 

수보리야, 만약 보살의 마음이 어떤 법에 머물러 보시하면

마치 사람이 어두운 데 들어가 아무것도 볼 수 없는 것과 같고,

만약 보살의 마음이 어떤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마치 사람이 햇빛이 밝게 비칠 적에 밝은 눈으로 갖가지 온갖 물체를 분별해 보는 것과 같으니라.

 

수보리야, 다음 세상에서 만약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능히 이 경을 받아 지녀 읽고 외우면,

여래는 부처의 지혜로써 그 사람을 다 알고 그 사람을 다 보느니

헤아릴 수 없고 가없는 공덕을 성취하게 되리라,"

 

 

*다음은 다른 방식의 표현입니다.

 

그때에 수보리가 이 경 말씀하시는 것을 듣고,

뜻을 잘 알고는 눈물을 흘리면서 부처님께 사뢰었습니다.

 

"희유하시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이렇게 뜻이 깊은 경전을 말씀하신 것은

제가 이제까지 지혜의 눈(慧眼)을 뜬 이후로 아직까지 일찍이 듣지 못하던 것이옵니다."

 

"세존이시여,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믿음이 깨끗해지면

실상(實相)의 깨달음을 마땅히 알리니, 이 사람은 제일 희유한 공덕을 성취한 사람이옵니다.

세존이시여, 이 근본 실상은 곧 상(相)이 아니므로

여래께서 설하시기를 실상(實相)이라 말씀하시나이다."

 

"세존이시여, 제가 지금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어 받아 지니기는 어렵지 않으나

만일 다음 세상 마지막 오백세에 어떤 중생이 이 경을 듣고 그대로 믿어 받아 지닌다면,

이 사람이야말로 제일 희유한 사람이라 하리니

무슨 까닭인가 하면 이 사람은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전혀 없기 때문이옵니다.

 

어째서 그런가 하면 아상이 곧 상(相)이 아니며, 인상, 중생상, 수자상도 곧 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 까닭을 말하오면 온갖 상을 떠나 자유로우면 곧 부처라 하기 때문이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말씀하셨습니다. "그러하니라. 그러하니라."

"만일 어떤 사람이 이 경을 듣고 놀라지 않으며 겁내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으면,

이 사람은 참으로 희유한 사람인 줄을 알지니라.

어째서 그러냐 하면 수보리야, 여래가 말하는 제1바라밀(보시바라밀)은

곧 제일바라밀이 아니기에 이를 제일바라밀이라 부르는 것이다."

 

"수보리야, 인욕바라밀(忍辱波羅蜜)도 여래는 인욕바라밀이 아니라 하기에

이를 인욕바라밀이라 하노니, 그 까닭이 무엇인가 하면,

수보리야, 내가 옛날에 가리왕에게 몸을 갈기갈기 찢길 적에

아상도 없고 인상도 없고 중생상도 없고 수자상도 없었느니라.

 

왜냐하면, 내가 옛날에 몸을 찢길 적에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있었더라면

성을 내며 원망을 하였을 것이기 때문이니라.

수보리야, 또 저 옛날 오백세 동안 인욕선인(忍辱仙人)이었던 일을 생각하면

그때에도 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이 없었느니라."

 

"그러므로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온갖 모양(相)을 여의고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마음을 낼지니,

빛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며 소리와 냄새와 맛과 촉감과 법진(法塵)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도 말아야 하나니 마땅히 머무름 없는 마음을 낼지니라.

 

만일 마음에 머무는 데가 있으면 이것은 머무름이 아니니

그러므로 여래는 말하기를 '보살은 마음을 색에 머무르고서 보시하지 말아야 한다.' 하였느니라.

수보리야, 보살들은 마땅히 온갖 중생을 이롭게 하기 위하여 보시하여야 하나니,

여래가 설한 온갖 모양이 곧 모양이 아니며 또한 온갖 중생이 곧 중생 아니라 하느니라."

 

"수보리야, 여래는 참된 말만 하는 이(者) 이며, 실다운 말만 하는 이 이며, 여실한 말만 하는 이 이며,

속이지 않는 말만 하는 이 이며, 다르지 않은 말만 하는 이 이니라.

수보리야, 여래가 얻은 법. 이 법은 진실도 아니요 거짓도 아니니라."

 

"수보리야,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러 보시하는 것은

마치 어두운 곳에 있는 사람이 아무것도 보지 못하는 것 같고,

어떤 보살이 마음을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눈 밝은 사람이 햇빛 아래서 여러 가지 물건을 보는 것 같으니라."

 

"수보리야, 오는 세상에 선남자나 선녀인들이 이 경을 받아 지니고, 읽고 외우면

여래가 부처의 지혜로써 이 사람을 다 아시고 이 사람을 다 보시나니

모두가 한량없고 끝없는 공덕(功德)을 이루느니라."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