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마음 챙김, 명상, 마음공부] 히말라야를 넘어서 27장(2)

 

'우리는 인류 전체의 산물이란다.' 그는 계속해서 말을 이었습니다.

'물론 개인 각자는 자신이 처해 있는 환경에 따라서 사회적, 종교적, 인종적, 정치적인 조건들로

서로 다른 모습으로 묶여있지만 말이야.

개인으로서는 각자 서로 다르게 조건화되어 있을 수도 있겠지만,

인류 전체를 제한하고 있는 이 모든 조건은 서로 분리되어 있다고 믿고 있는

총체적인 과정에 속해 있다는 것을 너는 곧 알게 될 것이다.

 

네가 이 사실을 이해하고 있을 때라야 근본적인 변화가 일어나게 된단다.

왜냐하면 어떻게 해서 네가 스스로 조건들로 인해 묶이게 되었는지를 이해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자, 아들아. 세상은 어떤 종류의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소리치고 있다.

우리 모두는 무엇인가를 행동하기를 바라고 있지.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해야 할지 알고 싶어 하지.

특히 서로 다른 이데올로기로 세상이 나누어져 있고,

소위 종교 단체들이 사람과 사람 사이를 가르고 있는 지금의 경우에는 특별히 더 그렇지.

 

세상이 이토록 혼란스럽고, 이토록 불행하고, 이토록 큰 혼돈에 빠져 있단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은 사실 우리 자신의 행실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이는 우리가 곧 세계이기 때문이란다.

 

자, 행동이라는 것은 그 자체로는 존재하지 않는단다.

행동이란 어떤 사람이나, 사물, 관념에 대한 관계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지.

그러므로 우리가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란 행동(action)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이해하게 되면 우리는 바르게 행동할 수 있게 될 것이다.

 

행동이란 뭔가를 한다는 것에 지나지 않아. 그렇지?

그래서 우리가 스스로를 제한하고 있는 조건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면,

우리는 어떤 패턴에 따라 그 조건을 강화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지.

그리고 이렇게 하는 것은 사실 행동이 아니라, 반응하는 것에 불과하단다.

 

그리고 우리는 자신이 어떻게 해서 이런 패턴을 습득하였는지를 알지 못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 패턴에 속해 있는 그물에 사로잡혀 있는 것이다.

 

만약 우리가 자신의 행동을 관념에 맞추려고 한다면, 그것은 더 이상 올바른 행동이 아니란다.

그렇게 한다면, 그것은 그 패턴에 순응하는 것일 따름이지. 그렇지 않니?

나는 네가 이 문제를 주의 깊게 지켜보길(watch) 원한다.

그래야 너는 지극히 중요한 이 질문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네가 이제 곧 돌아가야 할 세상 안에서 너는 이 문제에 직면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행동을 이해하고자 한다면, 너는 반드시 일정한 패턴에 순응하는

그 그릇된 과정을 이해해야 한단다.

순응이라는 공격적인 행동은 결코 올바른 행동이 될 수 없다.

올바른 행동 안에는 반응이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지.

 

일정한 패턴에 순응하는 것이 바로 혼란과 갈등(strife)의 원인이 되는 것이란다.

왜냐하면 그때 너는 순응이라는 과정의 거짓됨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될 때 네 행동은 자신이 따르고 있는 패턴의 연장선상에 있을 뿐이며,

그 패턴이라는 것도 다른 패턴에 반대되는 것일 뿐 그것을 넘어서지는 못한다.

 

이렇게 한다고 해서 평화와 조화로움을 가져올 수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나 네가 그 거짓된 것을 거짓된 것으로 알아보게 된다면,

거짓된 것은 저절로 떨어져 나갈 것이며 너는 참인 것을 갖게 될 것이다.

 

올바른 행동이란 생명 자체에 대해 평화롭게 접근하는 것을 말한단다.

자신의 욕망을 이루기 위해 생명을 수단으로 이용하고자

생명에 공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결코 아니지.

 

자아를 표현하게 되면, 그것은 필연적으로 슬픔과 갈등을 가져오게 된단다.

자아를 표현하는 이러한 행동은 관념의 결과일 뿐 참된 행동은 아니다.

참된 행동은 네가 거짓된 것으로부터 자유로워졌을 때

그 무한한 상태에서만 발휘되는 것이다.

 

거짓된 것을 네가 이해하고 있을 때라야 너는 올바르게 행동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관계를 통해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는 것이고.

아들아, 너는 이 점을 이해하고 있니?'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