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마음 챙김, 명상, 마음공부] 히말라야를 넘어서 27장(8)

 

'이러한 것이 이해되고 나면 마음은 고요해지게 된단다.

그것은 마음이 만들어낸 고요함이 아니다.

억지로 고요하게 만들어지거나 훈련에 의해 고요해진 마음은 결코 실재를 알 수 없다.

그러한 마음은 실재를 받아들일 능력이 없단다.

 

너는 스스로의 생각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마음을 식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마음은 묶여 있으며, 보잘것없단다.

그리고 신 역시 그 보잘것없는 마음에 의해 보잘것없게 되어버린단다.

 

생각-과정(thought-process)이 끝장이 나고 자신 안에 대립되는 것들과 싸우지 않고

갈등하지 않게 될 때라야, 마음은 자유로워지고 고요해지게 된단다.

바로 그 멈춤(stillness) 속에 더 넓고 더 깊은 존재의 상태가 있게 된다.

 

그러나 만약, 보다 깊은 그것을 그저 추구하려 든다면,

그것은 상상과 추측에 의해 만들어낸 관념으로 되어버린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은 실재가 들어서기 전에 반드시 그쳐야만 하는 것이지

 

​그러므로 이해가 곧 명상의 시작이며, 참된 명상은 실재에 이르는 입구이다.

여기에는 배워야 할 기술(trick)도 없으며, 따라야 할 기법(technique)도 없단다.

어떤 방법을 찾게 되는 그 순간 그런 시도는

너를 자유로움과 자기-이해를 향한 제일원칙이라는 길에서 멀어지게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기-이해가 없다면 자유로움 역시 존재하지 않는다.

너는 반드시 사물을 있는 그대로 봐야 한다. 그러면 너는 너 자신을 이해하게 되지.

오직 이렇게 했을 때라야 마음이 멈추게 되는 것이며,

이 멈춤 안에서 실재는 자신의 무한한 존재의 상태 안에서 일하게 되는 것이다.

 

아들아, 이렇게 할 때 참된 영감(true inspiration)이 있게 된단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우리가 정말로 원하고 있는 것이지.

자유로운 마음, 과거에 축적해놓은 기억으로부터 자유로우며,

실재 즉, 새로운 그것(the New)을 방해하고 있는 모든 것들에서 벗어나 있는 그 마음 말이야.

너는 반드시, 과거 즉, 오래된 그것의 방해를 받지 않고 새로운 그것을 만나야 한단다.'

 

전에도 비슷한 말을 들은 적이 있기는 합니다.

그러나 그 순간 그 말들은 보다 깊은 중요성을 띠고 있었습니다.

그 말들은 내 마음 속으로 보다 깊숙하게 파고 들어와

나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었습니다.

 

나는 전에도 어떤 단일한 관념이나 생각에 마음의 다양한 형태로 집중한 바 있으나

그때에는 결코 경험해본 바 없는 이해와 자유가 그 순간 있었습니다.

 

그 일이 일어나는 동안 나는, 모든 과거가 내 앞에서 떠오르는 듯 느꼈습니다.

그리고 이것이 곧 자아라는 것을 알았으며, 자아에게는 아무런 힘이 없었으며,

내가 그것에 힘을 부여할 때에만 힘을 갖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내 안에 있는 두려움이란 나 자신의 환상으로서,

그 환상은 나를 규정하고 있는 나의 조건에 의해 만들어낸 것이었습니다.

이 사실을 이해하게 되었을 때, 나는 그러한 자유로움을 느꼈던 것입니다.

 

이 자유로움은 다른 어떤 방법을 통해서 들어서게 되는 것이 아니라

다만 자아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만 들어서게 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